주식 용어 PER EPS PBR BPS에 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주식을 하다 보면 생소한 용어들의 등장에 어려움을 느끼실 수 있는데요. 특히 이제 막 입문하신 분들이라면 기본적인 단어나 개념은 알아두고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재무제표를 보거나 투자처를 고를 때 무척 용이하기 때문이에요. 그렇다면 오늘은 per를 포함한 주식 용어 몇 가지를 알려 드리겠습니다.
주식용어 알아보기
PER(Price Earning Ratio)
한마디로 주가수익비율이라고도 합니다. 기업의 재무제표를 보다 보면 등장하는 용어인데요. 주가를 1주당 순이익으로 나눈 값을 의미합니다. 만약 어떤 기업의 주가가 만 원으로 형성되었다고 칩시다. 주당 수익이 천 원이라면 PER은 10이 나오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PER이 낮은 숫자로 나오면 저평가로 여겨지고, PER이 높다면 고평가라고 여겨집니다.
EPS(Earning Per Share)
1주당 순이익을 말합니다. EPS(주당 순이익)는 당기 순이익을 기업이 발행한 총 주식 수로 나누었을 때의 값이라고 생각하시면 되는데요. EPS는 높을수록 이득이 높은 것으로 볼 수 있는데, 성장하고 있는 기업이라는 뜻도 되겠죠.
PBR(Price to Book Ratio)
주가순자산비율입니다. 주가를 주당 순 자산으로 나눈 것이라고 보면 되는데요. 순 자산은 기업의 부채나 무형자산, 이연자산을 뺀 것을 말합니다. PBR도 낮은 숫자를 띌수록 저평가되었다고 보고, 높으면 고평가되었다고 여겨진다고 알아두시면 되겠습니다.
BPS(Bookvalue Per Share)
주당 순 자산을 말하는데요. 기업이 가지고 있는 부채를 뺀 순 자산을 발행 주식 수로 나눈 것을 BPS라고 합니다. 주식을 매매할 때 긍정적인 투자 지표로 쓰이기도 하는데요. 순 자산만을 고려하기 때문이고, BPS를 통해 고평가/저평가 여부에 대하여 예측해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ROE(Return On Equity)
자기자본이익률을 뜻합니다. 기업이 자본을 가지고 운영했을 때 어느 정도의 수익을 냈는지 비율을 가리킵니다. 당기순이익을 자기자본으로 나누어 계산합니다. ROE가 높으면 이 기업은 이익을 잘 내고 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 쉽게 설명하자면, 삼전 21년 9월 기준 ROE는 12.60%로 나와 있는데요. 10억을 투자했을 때 1억 2천6백 가량의 이익을 얻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ROA(Return On Assets)
총자산순이익률을 말합니다. 기업의 총자산에서 당기 순이익을 어느 정도로 증가시켰는지 보는 것입니다. 부채를 포함한 기업의 총자산을 얼마나 잘 활용해 수익을 냈는지 확인할 수 있게 됩니다. ROE와 마찬가지로 높을수록 긍정적인 방향으로 성장하고 있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주식 용어 PER EPS PBR BPS를 비롯한 단어들에 관하여 알아보았는데요. 주식을 공부하시는 분들께 좋은 참고 글이 되었길 바랍니다.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파벳 주식분할 내용 정리(앞으로 구글 전망은?) (0) | 2022.02.1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