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화통장 개설 후기 남겨볼까 합니다. 이번에 애드센스 통장 수익을 위해 외화통장을 만들었는데요. 여러 조건과 상황을 비교하며 개설한 터라 관련 후기 글을 쓰게 되었네요. 달러 입금으로 받고자 하시는 분들, 어디서 개설해야 할지 고민되신다면 제 포스팅 참고해주시면 도움될듯합니다.
◆ 구글 애드센스 수익, 어디서?
일단 저는 지난 2월 달, 애드센스 수익을 받게 되었는데요. 233.82달러가 잔고에 쌓여있었죠.
인생 첫 외화통장을 만드는 거라 어떤 은행을 선택해야 할지 고민되더라고요. 과거에는 많은 분이 SC제일은행을 이용했다고 들었는데요. 그 이유는 300달러 수익 미만이라면 송금 수수료가 무료였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21년도 2월부터 송금 수수료가 변경되어 300달러에서 100달러로 기준이 낮춰졌고, 이젠 100달러 이상 송금받을 시 건당 만 원을 내야 하는 것으로 바뀌었습니다.
그래서 SC제일은행을 선택할 이유가 없어 많은 분이 흩어졌다고 하죠.
◆ 외화통장 은행별 수수료 비교
개인적으로도 이곳저곳을 비교해보며 어디가 좋을지 찾아봤는데요.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았습니다.
<1만 원대>
신한은행 | 건당 만 원 (100불 미만 면제, 전자거래방식 이용 시 50% 감면) + 중개수수료 5달러 총 수수료 : 5천 원+5달러 (약 1만 원~) |
KEB하나은행 | 건당 5천 원 (100불 이하 면제, 5천 불 초과 시 만 원) + 중개 5달러 총액 : 5천 원+5달러 (약 1만 원~) |
우리은행 | 건당 만 원 (인터넷 타발송금 입금 시 5천 원) + 중개 5달러 총액 : 5천 원+5달러 (약 1만 원~) |
우체국 | 건당 5천 원 + 중개 5달러 총액 : 5천 원+5달러 (약 1만 원~) |
SC제일은행 | 건당 만 원 + 중개수수료 없음 총액 : 1만 원 |
<1만5천 원대>
KB국민은행 | 건당 만 원 (100불 미만 또는 원화대가 매매금액 미화 2만 불 상당액 초과하면 면제, MVP스타 고객-로얄스타 고객은 50% 감면) + 중개수수료 5달러 총 수수료 : 1만 원+5달러 (약 1만 5천 원~) |
카카오뱅크 | 건당 5천 원 (100불 미만 면제) + 중개 10달러 총액 : 5천 원+10달러 (약 1만 5천 원~) |
NH농협 | 건당 만 원 (100불 이하 면제) + 중개 5달러 총액 : 1만 원+5달러 (약 1만 5천 원~) |
<2만 원대>
씨티은행 | 건당 만 원 (100불 이하 면제) + 중개 10달러 총액 : 1만 원+10달러 (약 2만 원~) |
◆ 정리
외화통장으로 가장 많이 거론되는 종류를 살펴보면, 카카오/우리은행/제일은행인데요.
1) 카카오
- 장점 : 비대면으로 이용하기 편리하다.
- 단점 : 씨티은행을 거쳐 들어오므로 중개 수수료가 비싸다. 원화로 환전되어 입금.
2) 우리은행 '크리에이터 우대' 통장
최근에 출시되어 애드센스 이용자들에게 인기 많은 상품입니다. 첫 가입 후 1년간은 우대 혜택(GOOGLE ASIA PACIFIC PTELTD 이름으로 1년에 9번 이상 해외송금 들어오면 수수료 면제. 첫 1년 무료)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장점 : 매달 애드센스 수익을 받는 이용자들은 수수료 면제, 환율 우대 80% 혜택받기 좋다.
- 단점 : 원화로 환전되어 입금된다.
3) 제일은행
- 장점 : 달러로 입금받을 수 있다. 환차익, 투자하기 좋음.
- 단점 : 수수료 만 원으로 다른 곳과 비슷해졌다.
◆ 내가 최종적으로 선택한 곳
결국 SC제일은행을 골라 진행했습니다. 중개 수수료까지 생각하면, 결국 기본적으로 다 만 원 이상은 주어야 한다는 것인데요.
어차피 똑같은 가격이라면, 오래전부터 구글 애드센스 등 외화통장 관련 거래를 도맡아왔던 곳에 맡기는 게 낫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어차피 저는 주거래 하는 곳도 딱히 없었고요. (신한이나 하나, 우체국이 주거래 뱅크이신 분들도 해당 은행이 나쁘지 않은 선택일 것입니다.)
일 처리 같은 부분도 좀 더 수월하게 할 수 있을 것이고, 달러로 입금받고 투자나 재테크하는 것을 원하고 있었기에 개인적으로는 이곳이 나은 것 같다는 판단이 든거죠.
우리은행의 크리에이터 통장도 수수료 면제 부분에서 매력적이긴 한데, 원화로 환전되니 달러 차익을 노릴 수 없다는 점이 아쉬웠습니다.
어쨌든 제일은행에서 계좌를 만들었는데요. 233.82달러가 구글에서 입금되었고, 은행을 거쳐 통장에 들어온 잔액은 수수료 제외하고 225.50달러였습니다. 만 원가량 빠지고 들어온 것이죠.
만족스러운 거래였던 것 같습니다. 특히 요새 환율이 매우 좋다보니 저는 달러로 입금받는 게 제일 좋은 것 같네요. 다음 달 수익이 들어오면 해외 주식에 투자해볼 생각입니다.
* 수수료 아끼는 팁!
구글 애드센스에서 지급액 기준을 높여주면 됩니다. 기본적으로 100달러 이상 되어야 수익이 자동으로 입금되는데요. 100달러를 300달러나 500달러 등으로 바꿔주면 매달 만 원씩 빠져나갈 돈을 2~3달에 한 번씩 받으니 조금 아낄 수 있겠죠? 물론 저를 포함해 수익이 얼마 되지 않는 분들에게만 해당하는 이야기입니다. ㅎㅎ
구글 애드센스 > 지급 > 결제 정보 > 설정 관리 > 지급 일정 '청구 기준액' 설정 |
외화통장 개설 후기 및 수수료 비교까지 상세히 정리해보았는데요. 어떤 은행에서 진행해야 할지 고민 중이신 분들이라면 오늘 포스팅 참고하셨으면 좋겠습니다.
'경제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금리 적금 통장 웰뱅워킹적금 | 매일 걷기만 해도 이자 10% (1) | 2022.09.26 |
---|---|
레버리지 뜻 예시 간단하게 정리했어요 (0) | 2022.03.16 |
역기저효과 기저효과 뜻 차이 간단 정리 (0) | 2022.03.08 |
국가대표 연금점수 기준 정리 | 메달따면 얼마 받을까? (0) | 2022.02.19 |
금한돈값 시세 확인은 어떻게 할까? 단위까지 정리 (0) | 2022.0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