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세체납조회 방법 알려 드리겠습니다. 소득세나 법인세, 상속세, 증여세, 부가가치세, 인지세 등 국가에 납부해야 할 세금을 국세라고 하는데요. 국민의 생활 발전과 국가 유지 등을 위한 기본 의무임에도 실수로 지나쳤거나, 사정이 있어 내지 못하는 순간이 있습니다. 고지된 날짜까지 내면 다행이지만, 만약 체납이 이루어질 땐 여러 불이익이 있어 꼭 기한 내에 내셔야 합니다. 그렇다면 체납액 확인은 어떻게 하는지 볼까요?
국세체납조회 방법
<pc버전>
1. 국세청 홈택스에 접속해줍니다.
2. 로그인을 해주세요. 회원이나 비회원으로 로그인하시면 됩니다. (비회원으로 하셔도 상관없습니다)
3. 로그인이 끝났다면, 상단 메뉴에 있는 신고/납부 > 세금납부의 '국세 납부' > 납부할 세액 조회/납부 눌러주세요.
4. 비회원으로 하셨다면 처음에 인증했으니 바로 체납한 세액이 뜰 거고요.
회원으로 진행하신 분들은 인증서로 인증 한 번 해주셔야 볼 수 있습니다. (자동으로 창이 뜨니 팝업 차단 해제해주세요.)
만약 체납한 금액이 있다면 목록에 뜨겠죠? 여기서 세금을 낼 수 있으니 내시면 됩니다. 다만, 신고납부기한까지만 조회할 수 있고 기한이 지난 것은 자진 납부 화면으로 가셔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모바일 버전>
1. 손택스 어플에 접속해줍니다. (없다면 구글 스토어에 손택스 검색 후 설치하세요.)
*손택스는 국세청 홈택스의 모바일 어플 이름입니다.
2. 상단 메뉴의 신고납부 > 국세 납부 > 납부할 세액 조회납부 눌러주세요.
3. 그러면 인증을 하라는 창이 뜨는데요. 공동인증서(구 공인인증서)나 간편 인증(카카오/패스/네이버/페이코 등)으로 진행하시면 납세액을 확인할 수 있답니다.
국세체납조회 방법 굉장히 쉽습니다. 세금을 내는 것도 컴퓨터랑 휴대폰 등으로 할 수 있고요. 일이 바빠 납부가 힘드셨던 분들은 이렇게 주기적으로 체납액은 없는지 확인해보시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국세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세납입증명서 발급 방법 온라인으로 신청해요 (0) | 2022.02.15 |
---|---|
착한임대인 세액공제 뜻 기한 쉽게 요약 정리 (0) | 2022.02.05 |
지방소득세 주민세 차이는? 간략하게 알아보기 (0) | 2022.01.25 |
전자기부금영수증 발급방법 (인터넷 모바일로 쉽게) (0) | 2022.01.21 |
퇴직자 연말정산 방법(중도 퇴사, 이직자를 위한 정리) (0) | 2022.0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