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기부금영수증 발급방법에 관하여 알고 계신가요? 기부금 단체가 21년 1월 1일 이후 기부받는 분부터 영수증을 전자로 발급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홈택스를 통하여 신청할 수 있는데요. 기부하신 분들은 단체로부터 해당 영수증을 신청하여 연말정산 등에 제출할 수 있으므로 알아두시면 유용한 정보일 것입니다.
전자기부금영수증 제도
이전에는 기부자가 단체에 직접 연락하여 영수증을 발급받는 번거로운 과정이 있었습니다. 단체도 발급명세 등과 같이 법정서식을 내야 하므로 서로가 불편한 절차였지요. 하지만 이제는 홈택스의 전자기부금영수증을 통하여 기부자와 단체 모두 쉽고 빠르게 발급 진행 절차를 밟을 수 있습니다.
※ 전자기부금영수증을 받으면 기부한 사람은 어떤 혜택이 있을까?
신고할 때 무척 편리하다
발급받으면 자동으로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에 반영됩니다. 소득(법인)세와 같은 세액 신고 증빙 서류로 이용할 수 있는데요. 따로 영수증을 내지 않아도 공제가 이루어지고, 힘들게 발급/제출을 하지 않아도 되니 편리함이 커졌습니다.
가산세 부담 완화가 된다
사실과 다른 영수증이 발급되거나, 권한이 없는 비적격단체의 영수증 발급행위를 막을 수 있어, 부당공제를 통한 가산세 부담이 줄어듭니다.
※ 기부금 단체는 어떤 혜택이 있을까?
전자로 발급함으로 납세협력비용을 아낄 수 있다
전자 영수증으로 편리하게 발급해주어 관련 비용 절감이 이루어집니다.
법정서식 제출편의
21년 7월 1일 이후부터 전자기부금영수증 발급분에 관하여 법정서식 작성, 보관, 제출 의무가 면제된다는 편의 혜택이 있습니다.
기부문화가 활성화되는 장점
적격단체에만 권한이 부여되어 거짓영수증 발급이 미연에 방지된다는 점입니다. 그렇기에 신뢰도가 높아져 믿고 기부할 수 있는 분위기 조성에 도움을 줍니다. 건전한 기부 문화가 활발해지는 것을 기대할 수 있는 거죠.
◆ 전자기부금영수증 발급 방법(기부자 기준)
<PC 버전>
1. 국세청 홈택스에 접속하신 뒤, 맨 위 조회/발급 메뉴에서 전자기부금영수증 > 메인화면을 눌러주세요.
2. 로그인 화면이 뜨는데요. 아이디나 인증서 등으로 로그인해줍시다. 저는 예전에 가입해놓아서 아이디 로그인했습니다. 비회원은 해당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으니 참고하세요.
3. 그러면 기부금 단체와 기부자 메뉴가 각각 뜨는데요. 해당하시는 것을 누르면 됩니다. 기부자이신 분들은 '전자기부금영수증 발급신청' 누르시면 돼요.
그러면 인적사항과 단체, 기부내용 등 입력 화면이 뜨는데 각 빈칸에 알맞은 내용을 기재하세요.
*만약, 단체 검색을 했는데 검색결과에 없다면 전자기부금영수증 발급 권한 신청하지 않은 단체일 수 있습니다. 혹은 기부금 단체가 아닐 수 있으니 해당 기관에 문의해보시는 게 좋습니다.
*기부금 단체의 근거 법령은 본인이 기부하고 있는 단체의 특성을 고르시면 됩니다. 종교면 종교, 교육이면 교육 등 잘 골라 선택하시면 됩니다. 그러면 기부내용 입력의 '유형'은 자동으로 지정/종교/법인 등 설정이 완료됩니다.
4. 다 썼다면 등록하기 버튼을 누르고, 아래 화면에 잘 반영되었는지 체크 후 신청하기까지 누르면 끝!
*전자기부금영수증 > 메인화면에서 발급목록 관리로 내용 확인/정정해보실 수 있습니다.
<모바일 버전>
1. 손택스 어플에 접속한 뒤, 로그인을 해주면 됩니다.
2. 그리고 조회/발급 메뉴에서 맨 아래로 내리면 전자기부금영수증 버튼이 있는데요. 그걸 누르면 PC 버전처럼 신청 발급받을 수 있는 메뉴들이 뜹니다.
3. 기부자신청 전자기부금 영수증 신청 누르셔서 진행하시면 되고, 조회도 발급목록 관리 들어가셔서 하면 됩니다.
전자기부금영수증 발급방법 잘 알고 활용한다면, 여러모로 도움이 많이 되는 제도입니다. 제가 포스팅을 작성한 시점에서는 연말정산이 끝나가고 있지만, 기부하시는 분들은 계속해서 해당 서비스 이용하시면서 다음 정산 때 쓰시면 좋을듯합니다.
.
'국세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세체납조회 방법 (인터넷, 휴대폰으로 간편 확인하기) (0) | 2022.01.27 |
---|---|
지방소득세 주민세 차이는? 간략하게 알아보기 (0) | 2022.01.25 |
퇴직자 연말정산 방법(중도 퇴사, 이직자를 위한 정리) (0) | 2022.01.19 |
부가세 수정신고 가산세 정리 (감면받을 수 있는 금액은?) (0) | 2022.01.17 |
현금영수증 자진발급 방법 홈택스로 쉽게 하자 (0) | 2022.0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