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시세조회방법 알려드리겠습니다. 이사가거나 아파트, 건물 매매할 때 살펴야 하는 것이 바로 부동산 가격이라고 볼 수 있죠. 지역마다, 건물마다 차이가 있어 더욱 꼼꼼하게 살펴보셔야 하는데요. 국토교통부에서는 탈세와 투기를 방지하기 위해 아파트와 다세대, 연립, 단독, 다가구 등 실거래가/전·월세까지 공개하고 있습니다.
1. 국토교통부
◆ 매매 공개 대상
실거래를 확인할 수 있는 대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06년 1월부터 부동산 거래 신고나 주택거래 신고를 한 아파트, 연립/다세대, 단독/다가구, 오피스텔과 토지, 상업 및 업무 부동산, 그리고 07년 6월 29일이 지나 체결된 아파트 분양과 입주권이 대상입니다.
◆ 전·월세 공개 대상
실거래가를 확인할 수 있는 전·월세 건물들은 21년 6월부터 임대차계약 신고를 한 서울 아파트, 연립/다세대, 단독/다가구, 오피스텔과 11년 1월부터 주민센터 또는 일부 공개할 수 있는 등기소 주택 확정일자 자료가 대상입니다.
*서울지역은 시범 공개 범위로, 점차 확대되어나갈 예정입니다.
국토교통부 홈페이지(http://rt.molit.go.kr/)에 접속하시면 아파트를 비롯해 여러 유형의 건물 시세 확인이 가능합니다. 상단 메뉴를 눌러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왼쪽엔 검색할 수 있는 창도 있으며, 지도 형식으로 되어 있어 보기에도 수월하실 듯한데요. 실거래가 시스템 메뉴도 있으니 다양하게 활용해보시면 좋습니다.
2. 다양한 부동산 플랫폼 홈페이지 모음
그 외 다른 사이트도 추천해드리겠습니다. 사이트마다 뚜렷한 강점이 있는데요. 국토교통부 말고도 부동산 시세 및 여러 정보를 얻기에 좋으니 한 번씩 다 방문해보셨으면 좋겠습니다. 본인에게 맞는 플랫폼을 찾아 이용하시면 좋을 듯 합니다.
- 먼저 kb부동산(https://kbland.kr/)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KB국민은행이 만든 플랫폼 서비스로 유명한데요. 업데이트도 자주 되고, 통계 자료 및 매매와 전세 지수 등 파악하기가 용이합니다.
- 다음은 부동산지인(https://aptgin.com/root_main)이라는 곳이 있습니다. 빅데이터를 바탕으로 부동산 시장 분석, 수요 예측 등 여러 동향을 살펴보고 싶을 때 추천해드립니다.
- 호갱노노(https://hogangnono.com)라는 곳도 있는데요. 여기는 개별 부동산 분석 및 학교, 대중교통 위치 등 지역적인 데이터 정보 위주로 보시고 싶을 때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이 외에도 다양한 홈페이지들이 존재하네요.
- 아실 https://asil.kr/asil/index.jsp
- 부동산플래닛 https://www.bdsplanet.com/map/realprice_map.ytp
- 네이버부동산 https://land.naver.com/
- 다음부동산 https://realty.daum.net/
한번씩 들러보고 각 기능 비교해보시면서 사용하시면, 더욱 유용한 부동산 정보 얻어가실 수 있을겁니다. 부동산 시세조회방법 이렇게 여러 가지 루트에 대해서 알려드렸는데요. 도움이 필요하셨던 분들께 좋은 정보가 되었길 바랍니다.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범어자이 모델하우스 정보 간단 정리 (0) | 2022.06.29 |
---|---|
명지오션퍼스트 공고 안내 | 입주 정보 자세하게 알아보자 (0) | 2022.03.14 |
칸타빌 수유팰리스 입지조건, 모집 공고 요약 (0) | 2022.02.22 |
부동산 매매 수수료 계산은 어떻게 할까? 한도액 정리 (0) | 2021.12.21 |
개별 공시지가 조회 인터넷으로 열람하는 법 (0) | 2021.1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