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천세계산 방법 뜻 총정리하여 알려 드릴게요. 사업할 때 꼭 알아두셔야 하는 것이 바로 원천세인데요. 매달 신고해야 하는 국세 중 하나이기에, 사업장을 운영하고 있다면 필수로 숙지해야 하는 내용이겠지요. 오늘은 간단하게 뜻과 종류, 계산 방법까지 정리해보았습니다.
원천세가 뭐길래?
소득세법상 소득에 대응하는 일정 비율의 세금을 소득 지급 전에 미리 부과하여 공제하는 세금을 의미합니다. 다소 뜻이 어렵다고 느끼시는 분들 많으실 것입니다. 쉽게 말해서 *원천징수를 통해 납부하는 세금이라고 생각하시면 될듯합니다.
*원천징수?
소득을 주는 사람이 지급받는 사람의 세금을 미리 떼어 국가에 납부하는 제도입니다.
예시를 들어보자면, 사장이 직원에게 월급을 줄 때, 일정 금액의 세금을 미리 뗀 후에 나머지를 직원에게 주는 것이죠. 그리고 뗀 세금은 다음 달 세무서에 내게 됩니다.
원천징수 대상 종류
세금을 떼는 대상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모든 소득을 원천징수하는 것은 아니기에, 그 종류를 알아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원천세계산 궁금하셨던 분들도 알아두시면 좋습니다.
1) 소득세법
2) 법인세법
원천징수 제외되는 경우도 알아볼게요.
- 소득세(법인세)가 매겨지지 않거나 면제되는 소득
- 과세최저한(건별 기타소득금액 5만 원 이하 등) 적용되는 기타소득 액수
- 원천징수 배제 - 소득을 지급하면서 원천징수하지 않았으나, 소득자(직원)가 이미 그 금액을 종합소득이나 법인세 과세표준에 합쳐 신고한 경우/과세관청에서 소득세 등을 부과하거나 징수했을 때
- 소액부징수 - 당해 세액이 1,000원 미만이라면 원천징수 면제됨(거주자에게 지급되는 이자소득은 천 원 미만이어도 원천징수 해야 함), 일당직 근로자에게 일당을 한꺼번에 줬을 때 세액 합계액 기준으로 소액부징수 대상인지 아닌지 판단
원천세계산 방법
계산하는 방법은 지급 금액에서 원천세를 제하면 실제로 받는 급여가 되는데요.
ex) 사업소득 세율은 3.3%입니다. (원천징수세 3%+주민세 0.3%) 지급 급여에서 3.3%만큼 빼면 실수령금액을 알 수 있습니다. 어떤 사람이 한 달에 191만 4천 원을 벌어들이는데, 여기서 사업소득 세율을 제외하면 실제 본인에게 돌아오는 돈은 185만 838원이 되는 것입니다.
원천세 종류에 따라 세율 차이가 있습니다. 국세청 참고 링크 드립니다. 세세하게 구분되어 있으니 궁금하신 분들은 확인해보셔도 좋습니다.
https://www.nts.go.kr/nts/cm/cntnts/cntntsView.do?mi=2415&cntntsId=7703
국세청
국세청
www.nts.go.kr
원천징수 신고 납부 기간은?
원천세계산법 말고도 꼭 알아두셔야 하는 납부 기한! 지켜주세요!
<일반 원천징수일 때>
- 소득 지급일 속하는 달의 다음 달 10일까지 신고해야 합니다.
<반기납부일 때>
- 소득 지급일 속하는 반기(1~6월, 7~12월)의 다음 달 10일까지 신고해야 합니다.
<연말정산 시>
- 다음 연도의 2월분 급여 지급할 때까지 내셔야 합니다.
*위 3가지 모두 공통으로 원천징수 이행상황 신고서를 제출하셔야 합니다.
<지급 명세서>
- 근로·퇴직·사업소득·종교인소득· 연금계좌 : 다음 연도 3월 10일까지
- 일용근로소득 : 지급일 속하는 달의 다음 달 말일까지
- 이자, 배당, 기타소득 등 그 외의 소득 : 다음 연도 2월 말일까지
원천세 신고 납부는 어디서 해야 할까?
원천징수 의무자라면 매달 세금을 내야 하는데요. 우편으로 담당 세무서에 제출하셔도 좋고, 국세청 홈택스 사이트에 접속하여 신고/납부 하셔도 좋습니다.
*납부 기한을 지키지 않으면 10% 한도 내로 가산세가 붙으니 기한은 꼭 지켜주세요!
홈택스 접속 > 상단의 '신고/납부' 메뉴 > 세금신고 > 원천세 > 정기신고작성 클릭 후, 항목 기재하여 제출
국세청 홈택스
www.hometax.go.kr
원천세계산 정리해보았습니다. 처음 사업 시작하시는 분들, 그리고 직장에 다니시는 분들 모두 알아두시면 유익한 내용입니다. 다소 처음이라 어렵게 느껴지실 수 있으나 개념만 잡힌다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다음에도 좋은 정보 글로 찾아뵙겠습니다.
'국세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가가치세 기한후신고 방법 | 간이과세자 (스마트 스토어) (0) | 2022.03.30 |
---|---|
국세청 세금포인트 조회 방법(홈택스) 사용 가능한 곳은? (0) | 2022.03.18 |
일용근로소득 지급명세서 기한 및 제출 방법은? (0) | 2022.02.28 |
퇴직소득 대체 뭘까? 범위와 계산 방법까지 간단 정리 (0) | 2022.02.24 |
국세납입증명서 발급 방법 온라인으로 신청해요 (0) | 2022.02.15 |